Gummybear 콘셉트 영상은 좋은 성과를 보였지만, 사용 가능한 에셋의 한계가 존재했습니다.
대부분 저해상도의 사전 렌더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애니메이터별로 분리된 파일 형태였기 때문에, 사내팀과 에이전시 모두에서 Gummybear 영상의 퀄리티가 낮게 유지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대부분 저해상도의 사전 렌더 애니메이션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애니메이터별로 분리된 파일 형태였기 때문에, 사내팀과 에이전시 모두에서 Gummybear 영상의 퀄리티가 낮게 유지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Spine Gummybear 프로젝트는 올해 초 진행된 Spine 워크숍 이후 처음으로 Spine을 본격 활용한 도전적인 작업이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히 리그를 제작하는 것을 넘어, 팀 간 협업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PM Jam 기간 동안 쌓은 지식을 기반으로 다른 크리에이티브들의 Spine 작업을 지원했으며, 이후에는 Candy 캐릭터의 정교한 휴먼 리그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도 참여했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단순히 리그를 제작하는 것을 넘어, 팀 간 협업 프로세스를 체계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PM Jam 기간 동안 쌓은 지식을 기반으로 다른 크리에이티브들의 Spine 작업을 지원했으며, 이후에는 Candy 캐릭터의 정교한 휴먼 리그를 구축하는 프로젝트에도 참여했습니다.
완성된 Gummybear 에셋은 이후 여러 마스터 영상과 New Games 팀의 프로젝트에 재활용되었으며, 현재도 팀은 새로운 애니메이션을 추가하며 자산의 확장성과 활용성을 높여가고 있습니다.
 
        Idle
 
        Hi
 
        Unhappy
 
        Shy
 
        Cheer
 
     기여도 : 스파인 리깅 파일 제작 및 애니메이션 제작